법률

재정신청 가능한 사건 vs. 불가능한 사건 차이

스마트 스마일 2025. 2. 15.
반응형

🔍 재정신청 가능한 사건 vs. 불가능한 사건 차이

재정신청,항고,불기소 처분,검찰 불기소,재정신청 가능한 사건,재정신청 불가능한 사건,재정신청 요건,항고 절차,검찰청 항고,법원 재정신청,불복 절차,검찰청 민원,공소제기,기소유예,혐의 없음,죄가 안 됨,공소권 없음,각하,법률 상식,형사소송법,검찰청법,법률 절차,고소인 권리,검찰 수사,형사소송,고소 고발,법적 대응,소송 절차

 

재정신청이란
고소인이 검사의 불기소 처분(혐의없음, 기소유예 등)에 불복하여 법원에 공소 제기를 요청하는 절차다. 하지만 모든 사건에 대해 재정신청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재정신청이 가능한 사건

🔹 형사소송법 제260조에 해당하는 사건
다음과 같은 범죄에 대해 고소인이 불기소 처분을 받은 경우 재정신청이 가능하다.

 

1️⃣ 고소인이 직접 고소한 사건

  • 피해자가 직접 고소한 사건에 한해 재정신청이 가능
  • 예시: 폭행, 사기, 명예훼손 등 개인이 직접 피해를 본 범죄

2️⃣ 직권남용 등 특정 범죄 관련 고발 사건

  • 공무원의 직무 관련 범죄 일부에 대해 고발인이 재정신청 가능
  • 예시
    • 형법 제123조 (직권남용)
    • 형법 제124조 (불법체포·감금)
    • 형법 제125조 (폭행·가혹행위)
    • 공직선거법 제273조 (공직선거법 위반 관련 재정신청 가능)

3️⃣ 항고 후에도 불기소 처분을 받은 사건

  • 재정신청을 하기 전, 반드시 항고 절차를 거쳐야 한다.
  • 단, 예외적으로 항고 후 3개월 이상 결정이 없거나, 공소시효가 30일 이내로 남은 경우에는 바로 재정신청 가능.

재정신청이 불가능한 사건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재정신청이 불가능하다.

 

1️⃣ 고발 사건 (일반적인 경우)

  • 원칙적으로 고발인은 재정신청을 할 수 없다.
  • 단, 위에서 언급한 직권남용죄, 불법체포·감금죄 등 일부 공무원 직무 관련 범죄는 예외적으로 가능.

2️⃣ 친고죄에서 고소 기한이 지난 경우

  • 친고죄(예: 모욕죄, 간통죄 등)는 법적으로 정해진 고소 기한이 지나면 재정신청 불가능.

3️⃣ 반의사불벌죄에서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 반의사불벌죄(예: 폭행, 협박 등)에서 피해자가 가해자와 합의하고 처벌 불원 의사를 밝힌 경우, 더 이상 재정신청 불가능.

4️⃣ 기소중지·참고인중지 처분을 받은 사건

  • 검사가 '기소중지' 또는 '참고인중지' 결정을 내린 경우, 아직 사건이 완전히 종결되지 않았으므로 재정신청 대상이 아니다.
  • (※ 기소중지는 피의자가 도주하거나 신원이 불명확한 경우, 참고인중지는 참고인의 소재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내리는 결정)

5️⃣ 검찰총장이 최종적으로 판단한 사건

  • 항고 후에도 검찰총장이 최종적으로 기각한 사건은 재정신청 불가능.

📝 정리

✔️ 고소인이 직접 피해를 본 사건은 재정신청 가능
✔️ 특정 공무원 직무 관련 범죄(직권남용, 불법체포 등)는 고발인도 재정신청 가능
✔️ 항고 후에도 기각된 경우에 재정신청 가능
✔️ 고발 사건, 친고죄·반의사불벌죄에서 조건 미충족, 기소중지 사건 등은 재정신청 불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