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다 보면 숫자가 아닌 알파벳이 적힌 버튼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G, L, M, F, B와 같은 문자들은 특정한 층을 의미하는데, 나라마다 또는 건물마다 조금씩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사용되는 주요 알파벳들의 뜻과 각 층이 의미하는 바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엘리베이터 버튼 G, L, M, F, B의 뜻
✅ G(Ground Floor) – 지상층 / 1층
G는 "Ground Floor"의 약자로, 보통 건물의 지상층(1층)을 의미합니다.
- 한국과 미국에서는 G층이 1층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유럽에서는 G층을 0층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일부 건물에서는 "Garage(주차장)"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예시
- 한국: 1층(G)
- 영국: 0층(G), 1층은 "1F"로 표기
- 미국: 1층(G) 또는 "Lobby(L)"
✅ L(Lobby) – 로비 층
L은 "Lobby"의 약자로, 건물의 입구층이나 공용 공간이 있는 층을 의미합니다.
- 호텔이나 사무실 건물에서 주 출입구가 있는 층이 L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쇼핑몰에서는 고객 서비스 센터가 있는 층이 L로 지정되기도 합니다.
👉 예시
- 호텔: 리셉션과 출입구가 있는 층(L)
- 백화점: 고객 안내 데스크가 있는 층(L)
✅ M(Mezzanine) – 중간층
M은 "Mezzanine"의 약자로, 1층과 2층 사이에 위치한 중간층을 의미합니다.
- 극장, 대형 상업 건물에서 VIP석이나 추가 공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호텔에서는 식당, 연회장 등의 시설이 있는 층이 M으로 표시되기도 합니다.
👉 예시
- 극장: VIP 좌석이 있는 중간층(M)
- 쇼핑몰: 1층과 2층 사이의 소규모 매장이 있는 층(M)
✅ F(Floor) – 특정 층 / 일반 층
F는 "Floor"의 약자로, 특정한 층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 일반적으로 숫자와 함께 사용되어 1F(1층), 2F(2층) 등으로 표기됩니다.
- 간혹 "Function Floor(연회장, 회의실이 있는 층)"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 예시
- 한국: 1F(1층), 2F(2층)
- 일본: 백화점에서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층(예: 식당가 층을 "RF"로 표시)
✅ B(Basement) – 지하층
B는 "Basement"의 약자로, 지하층을 의미합니다.
- B1, B2, B3 등으로 표기되며, 숫자가 클수록 더 깊은 지하층을 의미합니다.
- 주차장, 창고, 지하 상가 등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시
- 쇼핑몰: 지하 식당가(B1), 주차장(B2)
- 아파트: 지하 주차장(B1, B2)

2.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버튼 알파벳
이 외에도 엘리베이터 버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다른 알파벳들의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알파벳 | 뜻 | 설명 |
P | Parking | 주차장(Parking Lot)을 의미 |
R | Roof / Rear | 옥상(Roof) 또는 후면 출입구(Rear) |
S | Service | 직원 전용(Service) 또는 보안 층 |
PH | Penthouse | 펜트하우스(Penthouse) |
E | Express | 엘리베이터가 정차하지 않는 층 |
3. 엘리베이터 층수 표기, 나라마다 다르다?
엘리베이터 버튼 표기는 국가마다 다르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미국
- G(1층), B(지하), L(로비)
- 주차장은 보통 P(Parking)로 표기
✅ 영국 & 유럽
- G(0층), 1(1층), B(지하)
- 일부 국가에서는 E(Erdgeschoss, 독일어로 "지상층") 사용
✅ 한국 & 일본
- 1F(1층), B1(지하1층), RF(옥상)
- 지하철에서는 B3~B5까지 사용되기도 함
각 나라와 건물의 구조에 따라 같은 알파벳이라도 의미가 다를 수 있으므로, 방문하는 곳의 안내 표지판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엘리베이터 버튼 헷갈리지 않으려면?
1️⃣ 건물 안내 표지판 확인 – 건물마다 층 표기 방식이 다를 수 있음
2️⃣ 숫자와 함께 확인 – 1F, B1처럼 숫자가 있는 경우 의미 파악이 쉬움
3️⃣ 관리인에게 문의 – 호텔, 쇼핑몰 등에서는 직원에게 물어보는 것이 정확함
결론, 엘리베이터 버튼의 알파벳, 이제 헷갈리지 마세요!
엘리베이터 버튼의 알파벳은 건물 구조와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지만, 기본적인 의미는 비슷합니다.
✔ G(Ground Floor) = 지상층 / 1층
✔ L(Lobby) = 로비 층
✔ M(Mezzanine) = 중간층
✔ F(Floor) = 특정 층
✔ B(Basement) = 지하층
이제 엘리베이터를 탈 때 버튼을 보고 헷갈릴 필요 없이 원하는 층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겠죠?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토류란? 알아두면 돈이 되는 희토류 지식, 국가별 생산량 (2) | 2025.04.08 |
---|---|
가스라이팅 뜻, 과정과 세뇌시키는 말투 특징까지 (0) | 2025.03.24 |
웨비나(Webinar) 뜻과 활용법, 효과적인 온라인 소통 방법 (0) | 2025.03.04 |
골디락스 뜻과 경제에서의 의미, 왜 중요할까? (0) | 2025.03.04 |
소음 차단이 오히려 독?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부작용의 진실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