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움’보다 ‘관리’를 택한 국민의힘
2025년 6월 3일 치러질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을 완료하며 본격적인 대선 채비에 돌입했습니다.
하지만 그 시작은 생각보다 조용합니다. 참신한 인물 영입보다는, 경험과 안정에 무게를 둔 인선이 핵심입니다.
비대위는 7일 황우여 전 비대위원장을 경선 선관위원장으로 선임했습니다. 그는 인천 5선 국회의원 출신으로, 교육부장관과 여당 대표를 지낸 보수 진영의 대표적인 원로 인사입니다. 이미 총선 직후 당 수습용 비대위원장을 맡았던 이력이 있어, 조직 장악력과 조율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왜 ‘새 얼굴’이 아닌 황우여인가?
권영세 비대위원장의 답변은 명확합니다.
“경선에서 새로움을 보여주는 건 후보들의 몫, 선관위는 공정하고 경험 있는 관리형 조직이면 된다.”
이 말은 곧, 당 조직은 최대한 리스크 없이 판을 관리하고, 후보들 스스로 경쟁력과 메시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뜻입니다.
총선 패배 이후 당의 컨트롤타워가 흔들린 만큼, 이번 선관위 구성은 안정적 리더십과 내부 단속을 위한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경선 룰, 바뀔까? ‘당심 대 민심’ 다시 뜨거운 논쟁
현재 국민의힘의 대선 후보 경선 룰은 ‘당심 50% + 민심 50%’입니다.
이는 당헌 제69조 2항에 근거하며, 당내 지지기반이 탄탄한 후보들에게 유리한 구조죠.
특히 당심 지지도가 높은 홍준표 대구시장, 김문수 장관 등은 현행 룰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강력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여론 흐름, 당 외곽 중도층의 확장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심 100%’ 방식 또는 ‘비율 조정’ 요구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문제는 시간입니다. 경선까지 촉박한 일정 속에 룰 개정은 내부 갈등을 불러올 수 있어, 선관위의 정치적 중립성과 조율 능력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윤심과의 거리 조절, 이번 경선의 핵심 변수
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은 국민의힘의 승리를 이끈 절대적 존재였습니다. 하지만 2025년 조기 대선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탄핵 사태 이후, 윤심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력하지만 정치적 부담도 커진 상태입니다.
후보들은 당심을 의식하면서도,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를 얼마나 조절할 것인지에 따라 본선 경쟁력에서 유불리가 갈릴 수 있습니다. 이는 경선 룰뿐만 아니라, 캠페인 메시지와 연대 구도에도 큰 영향을 줄 변수입니다.
‘후보가 보여줘야 할 새로움’은 무엇인가
국민의힘은 이번에도 정당 자체의 혁신보다는 후보 개인의 경쟁력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얼굴 없이 시작되는 대선’이라는 평가를 뒤집기 위해서는 단순한 경선 참여를 넘어, 국민이 기대하는 시대정신과 리더십에 맞는 비전과 개혁 메시지가 필요합니다.
과연 국민의힘은 내부 안정과 외부 확장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까요?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고, 선관위는 무대를 준비했고, 후보들은 보여줘야 할 차례입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률용어, 보석이란? 명태균 석방으로 본 보석의 의미와 시사점 (0) | 2025.04.10 |
---|---|
국민의힘 대선 후보, 본격화된 출사표 (5) | 2025.04.08 |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국민은 왜 정권교체를 원할까? 2025 대선의 흐름을 읽는 3가지 포인트 (0) | 2025.04.07 |
정치자금법이란? 정치 후원과 기부금, 어디까지 합법일까? (0) | 2025.04.07 |
김건희 의혹 총정리│공천 개입부터 검찰 조사까지, 지금까지의 전말 (0) | 2025.04.07 |